행복드림재가노인복지센터

본문 바로가기

공지사항

당뇨병 질환관리

관리자  125.142.24.103 2022-08-16 14:13:55 18회

당뇨병의 종류

  • 제1형 당뇨병 : 췌장에서 전혀 인슐린을 만들지 못해 혈당 조절을 못하는 경우
  • 제2형 당뇨병 : 인슐린이 나오더라도 간과 근육에서 인슐린의 기능을 다하지 못해 혈당조절이 안되는 경우
제1형 당뇨병제2형 당뇨병
구분췌장 베타세포 파괴에 의한 인슐린 결핍으로 발생한 당뇨병인슐린 분비 및 작용의 결함에 의해 발생한 당뇨병
발생연령어린이나 20세 미만의 청소년기에 발생일반적으로 40세 이후에 발생
체중과체중이 아님(주로 마른 체격)일반적으로 과체중
증상갑자기 나타남증상이 없거나 서서히 나타남
인슐린생산되지 않음소량 분비 또는 작용이 제대로 되지 않음
인슐린 치료매일 인슐린 주사가 필요식사요법과 운동으로 혈당을 조절 후, 조절되지 않으면 약물의 도움을 받음
발병율전체 당뇨병의 10%전체 당뇨병의 90%

당뇨병에 걸리기 쉬운 사람은?

  • 과체중(체질량지수 23kg/㎡ 이상)
  • 직계 가족(부모, 형제자매)에 당뇨병이 있는 경우
  • 공복혈당장애(공복혈당 100~125mg/dL)나 내당능장애(식후 2시간 혈당 140~199mg/dL)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
  • 임신성 당뇨병을 진단받았거나, 4kg 이상의 거대아를 출산한 적이 있는 여성
  • 고혈압(140/90mmHg 이상, 또는 약제 복용)
  • HDL 콜레스테롤 35mg/dL 미만 혹은 중성지방 250mg/dL 이상
  • 인슐린저항성(다낭성 난소증후군, 흑색가시세포증 등)
  • 심혈관질환(뇌졸중, 관상동맥질환 등)

당뇨병의 증상은?

  • 합병증이 발생될 때까지 대부분 증상이 전혀 없습니다.
  • 심해지면 물을 많이 마시게 되며, 소변량과 식사량이 늘면서 몸무게가 현저히 줄어드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 초기에는 증상이 전혀 없거나, 증상이 미미하기 때문에 치료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게 됩니다.

당뇨병 진단 기준?

  • 다음 기준 중 하나 이상 해당시 당뇨병으로 진단
    • 공복 혈장 혈당 ≥ 126mg/dL : 이 기준은 명백한 고혈당이 아니라면 다른날에 검사를 반복하여 확인해야 합니다.
    • 당뇨병의 전형적인 증상(다뇨, 다음, 설명되지 않은 체중감소)이 있고, 공복과 상관없이 측정한 임의 혈장 혈당 ≥ 200mg/dL
    • 75g 경구당부하검사 후 2시간 혈장 혈당 ≥ 200mg/dL
    • 당화혈색소 ≥ 6.5%

당뇨병을 확진하시려면 8시간동안 음식을 먹지 않고 정맥에서 해야하며, 정상공복혈당은 100mg/dL 미만입니다.
소변검사에서 당이 나온다고 반드시 당뇨병은 아니므로 자가 소변검사 후 당뇨약을 먹으면 안됩니다.
당뇨병이 진단되면 혈당기준치 외에도 병력, 가족력, 체중, 동반질환의 유무등을 함께 고려하여 치료방법을 결정해야 합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행복드림재가노인복지센터    |    TEL : 051-715-4800   |    E-MAIL : hl1bbg@naver.com
주소 :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로464번길 22 402호 (남천동)

COPYRIGHT © 부산재가요양.kr ALL RIGHT RESERVED